[미드] 실리콘 밸리 (Silicon Valley) 리뷰
이번 글은 믿고 보는 HBO 드라마 시리즈, 미국 시트콤 '실리콘밸리 (Sillicon Valley)'를 리뷰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웨이브 WAVVE 에서 실리콘 밸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실리콘밸리는 2014년 4월 6일 HBO에서 첫 방송을 했고, 2019년 12월 총 6 시즌으로 막을 내렸다. 한국에서는 큰 인기가 없었지만, 미국에서는 상당히 좋은 평가를 얻었다. IMDb 10점 만점에 8.5점을 받았고, 로튼 토마토에 94% 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실리콘밸리의 제작자는 90년대 대표 애니메이션 비비스와 버트헤드 (Beavis and Butthead)와 킹 오브 더힐 (King of the Hill)을 만든 유명한 프로듀서 마이크 저지 (Mike Judge)이다. 너드 캐릭터들의 기이한 행동과 실수들로 미국식 유머코드가 담겨있는 '실리콘밸리'는 너드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시트콤 '빅뱅이론'과 비교되지만, 실리콘밸리가 훨씬 현실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고, 특히 미국 실리콘밸리의 IT 벤처 업계의 현실에 대한 묘사나 풍자가 꽤 디테일하게 표현되어 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미드] 빅뱅이론 (The Big Bang Theory) 리뷰
[미드] 빅뱅이론 (The Big Bang Theory) 리뷰 (스포일러 없음) CBS 최고의 미국 시트콤 '빅뱅이론'(The Bigbang Theory)에 대해 리뷰해보고자 한다. 12 시즌으로 스토리가 방대해서 줄거리를 요약할 수는 없다..
nomadsway.net
실리콘 밸리 줄거리
주인공 프로그래머 리처드 핸드릭스는 자신이 개발한 음악 도구 알고리즘이 혁신적인 압축 알고리즘이라고 인정받으며 스타트업을 시작하게 된다. 그렇게 실리콘 밸리에서는 프로그래머들이 창업가로 변해가며 겪는 좌충우돌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등장 인물
리차드 헨드릭스 (Richard Hendricks) - 토마스 미들디치 (Thomas Middleditch)
원래는 얼릭 "벤처 인큐베이터" 사실상 하숙집에 살면서 대기업 훌리 (Hooli)에서 프로그래머로 근무했다.
그는 무손실 압축 알고리즘을 개발하며 스타트업, 피리부는 사나이 (Pied Piper)를 창업한다.
리차는 프로그래머로서는 천재적인 실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신감이 없고 수줍음이 많으며 허당이다.
얼릭 바크만 (Erlich Bachmann) - T. J. 밀러 ( T.J. 밀러)
리처드와 팀원들과 함께 살고 있는 "벤처 인큐베이터"의 주인이다. 직책은 부사장 (Senior Minority Owner)이다. 막나가는 상남자 성격으로 나온다. 트러블 메이커지만 미워할 수 없는 캐릭터다.
재러드 던 (Donald "Jared" Dunn) - 잭 우드 (Jack Woods)
재무 담당 (Chief Operating Officer)이다. 훌리에서 일하고 있었으나 리차드에게 감명을 받아 피리부는 사나이에 입사한다. 도덕적으로 잘못된 일을 하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버트람 길포일 (Bertram Gilfoyle) - 마틴 스타 (Martin Starr)
하드웨어를 다루는 시스템 엔지니어이다. 자기가 실력이 있다는 것을 자기 스스로가 아는 듯하다. 같이 사는 디네쉬와 자주 다툰다.
디네쉬 척태이 (Dinesh Chugtai) - 쿠마일 난지아니 (Kumail Nanjiani)
국적이 파키스탄이 프로그래머이다. 길포일과 자주 싸우는데 겉으로는 인정하지 않지만 속으로는 서로 실력자라고 여기는 듯하다.
시즌 구성
실리콘밸리는 총 6 시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53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다.
실리콘밸리 시즌 1 (2014)
S1 EP1 | Minimum Viable Product | 최소 기능 제품 |
S1 EP2 | The Cap Table | 지분표 |
S1 EP3 | Articles of Incorporation | 피리 부는 사나이 |
S1 EP4 | Fiduciary Duties | 신의 성실 의무 |
S1 EP5 | Signaling Risk | 위험 신호 |
S1 EP6 | Third Party Insourcing | 천재 채커의 영입 |
S1 EP7 | Proof of Concept | 스타트업 대전 |
S1 EP8 | Optimal Tip-To-Tip Efficiency | 최적의 공식 |
실리콘밸리 시즌 2 (2015)
S2 EP1 | Sand Hill shuffle | 벤처 캐피털 투어 |
S2 EP2 | Runaway Devaluation | 휘청이는 투자자 |
S2 EP3 | Bad Money | 새로운 투자자 |
S2 EP4 | The Lady | 더 레이디 |
S2 EP5 | Server Space | 서버 스페이스 |
S2 EP6 | Homicide | 생중계 대결 |
S2 EP7 | Adult Content | 성인물 |
S2 EP8 | White Hat/ Black Hat | 해커의 정체 |
S2 EP9 | Binding Arbitration | 강제 중재 |
S2 EP10 | Two Days of the Condor | 죽이느냐, 살리느냐 |
실리콘밸리 시즌 3 (2016)
S3 EP1 | Founder Friendly | 창업자 친화적 |
S3 EP2 | Two in the Box | 최고의 제품 |
S3 EP3 | Meinertzhagen's Haversack | 마이넛재건의 배낭 |
S3 EP4 | Maleant Data System Solutions | 멜리언트 데이터 시스템 솔루션 |
S3 EP5 | The Empty Chair | 빈 의자 |
S3 EP6 | Bachmanity Insanity | 바크매네티의 광기 |
S3 EP7 | To Build a Better Beta | 베타 테스트 |
S3 EP8 | Bachman's Earnings Over-Ride | 바크먼의 주식 |
S3 EP9 | Daily Active Users | 인간 실사용자 |
S3 EP10 | The Uptick | 상승세 |
실리콘밸리 시즌 4 (2017)
S4 EP1 | Success Failure | 성공과 실패 |
S4 EP2 | Terms of Service | 약관 |
S4 EP3 | Intellectual Property | 지식재산권 |
S4 EP4 | Teambuilding Exercise | 팀 빌딩 훈련 |
S4 EP5 | The Blood Boy | 젊은 남자 |
S4 EP6 | Customer Service | 고객 서비스 |
S4 EP7 | The Patent Troll | 특허 괴물 |
S4 EP8 | The Keenan Vortex | 키넌 볼텍스 |
S4 EP9 | Hooli-Con | 훌리콘 |
S4 EP10 | Server Error | 서버 에러 |
실리콘밸리 시즌 5 (2018)
S5 EP1 | Grow Fast or Die Slow | 빨리 성장하거나 천천히 죽는다 |
S5 EP2 | Reorientation | 재교육 |
S5 EP3 | Chief Operating Officer | 최고운영책임자 |
S5 EP4 | Tech Evangelist | 테크 에반젤리스트 |
S5 EP5 | Facial Recognition | 안면인식 |
S5 EP6 | Artificial Emotional Intelligence | 인공 감성지능 |
S5 EP7 | Initial Coin Offering | 암호화폐 공개 |
S5 EP8 | Fifty-One Percent | 51퍼센트 공격 |
실리콘밸리 시즌 6 (2019)
S6 EP1 | Artificial Lack of Intelligence | 결핍 |
S6 EP2 | Blood Money | 피 묻은 돈 |
S6 EP3 | Hooli Smokes! | 맙소사 |
S6 EP4 | Maximizing Alphaness | 극대화 |
S6 EP5 | Tethics | 기술 윤리 |
S6 EP6 | RussFest | 러스페스트 |
S6 EP7 | Exit Event | 출시일 |
실리콘 밸리 (Silicon Valley) 추천 이유
너드 개발자에서 스타업을 키워나가는 과정을 잘 담았다. 모든 에피소드가 긱(Geek)스럽고, 유머코드가 깔려있어 가벼운 마음으로 볼 수 있다. (처음으로 만난 여자 개발자와 Tab 이냐 Space 냐로 다투며 데이트를 완전히 망치는 리차드를 보며 폭소를 했다.) 그러면서도 실제 벤처기업의 대표들이 늘상 프레젠테이션에 하는 말들 '더 나은 삶', '우리의 삶을 바꾸는 혁신적인 기술', ' 사회에 대한 기여' , '우리가 좋은 세상으로 바꿉니다.' . 창업가들의 진정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그들을 풍자의 대상으로 삼는다. 실리콘 밸리는 VC 투자금 유치, 약육강식, 승자독식, 별의별 소송에 휘말리는 실리콘 밸리 IT업계를 꽤 실감나게 담았다. 실리콘 밸리는 IMDb 10점 만점에 8.5점이며, 로튼토마토는 94% 평점을 받았다.
노마드 조 평점
★★★★★
댓글